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2

포기.. 동기부여.. 새로운 시작 잠시 버려둔 사이 이직을 했고, 시한부 인생이였던 팀장이라는 자리에서도 벗어났다. 생각지 못한 사람의 생각지 못한 선택이라고 혹자들은 말하지만, 스스로에게 주는 동기부여였던 것이 잘 된 기회이고 경험이라고 믿는다. 아직 적응기를 갖고 있으며, 이 또한 얼마나 적응하게 될지 모른다. 어느 조직에서의 이방인이... 그 조직의 일부가 되는 그날까지.. 지금보다 그리고 그동안 한 노력보다 더 잘해보고 싶은 마음이 더 크기 때문이다. 2020. 3. 2.
[인문학리더십] 여덟가지 함정 리더십을 수행(?)할 때 리더가 빠지는 8가지 함정들이 있는데, 나는 함정에 빠지지 않았던 리더였나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리더가 빠지는 8가지 함정 함정 1 - 맹점을 무시한다. ("내말이 맞다니까...") 함정 2 - 인간관계를 순진하게 생각한다. ("다들 날 사랑해") 함정 3 - 감상적인 면을 깔본다. ("쓸데없는 짓 그만해") 함정 4 - 단순한 답만 좇는다. ("명백하잖아") 함정 5 - 너무 일찍 승리를 선언한다. ("내일은 끝났어") 함정 6 - 적응에 실패한다. ("이 방법으로 해왔어") 함정 7 - 남의 강점을 폄하한다. ("내가 전문가야") 함정 8 - 지배하고 포기한다. ("내가 하라기 전에는....아, 관두자고.") 함정을 피하는 법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나 과제가 눈앞에 있다.. 2020. 3. 2.
[인문학리더십] 어떤 종류의 가짜 리더인가? 배경 : 18명을 팀원으로 있는 조직에, 팀원이 만들어준 자리를 지키고 싶었고, 잘 하고 싶었고, 좋은 리더가 되고 싶었다 나한테도 자질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리더십에 대한 교양도서를 잔뜩 구매했다. 그리고선 다 읽지도 못한채 나를 믿어준 구성원을 두고 조직을 떠나왔다. 리더에서 내려와서 다시 읽은 리더에 관한 이야기들...을 읽으며 기록하려 한다. 나는 회사의 룰에 대해서는 엄격했고, 그 룰이 벗어나지 않은 한에서는 자유로운 룰을 가지고 움직였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팀원을 다른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이제와 생각해본다 어떤 종류의 가짜 리더인가? 당신이 아는 최악의 리더, 즉 가짜 리더를 한명 떠올려 보라, 아래 질문에서 가장 잘 맞는 문장을 고르라. 그 다음 맨 끝에 있는 설명을 보고 당신의 .. 2020. 2. 29.
[현생] 2019년 5월 16일 오늘 한 일협업회의 참석 후 고민 공유프로세스 산출물 확인여름옷 쇼핑 오늘 못한 일동생곰탱이의 사진 2차 편집역량평가 기준 가이드 작성하드디스크 백업데일리 전달 사항 및 데일리 업무 정리    자의든 타의든 한 팀의 구성원을 맡아 운영한 지 벌써 6개월이 지났다. 여전히 정리되지 않음 속에서 살고 있고, 어느날은 일조차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퇴근을 하기도 한다.  다 시간이 없다는 핑계이기도 했다.  오랜만에..팀원들이 작성한 회의록을 한줄 한줄 보다보니 이것 마저도 가이드가 필요하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회의록이라 함은 사실을 바탕으로 있었던 일을 나열하다보면 정리가 되기도 하고 그런 기록물인데.. 참석의 무의미하게 작성한  팀원들을 보자하니  약간 실망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동안 팀원들.. 2019. 5. 16.
[Java Script(with생활코딩)] CSS기초 : Style 속성 WEB java script 줄 바꿈을 해주는 태그가 div 무색무취한 태그가 span 이러면 폰트에는 뚱뚱한 글씨체가 들어간다. 2019. 5. 16.
[스피치] 07. 대인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개념정립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가? 사전에는..1) 전달, 보도2) 통신3) 교통 전달하다. 주다. 연결하다넓은의미 : 상징체계를 통한 의미의 전달 커뮤니케이션의 2가지 요건1) 커뮤니케이션의 방법2) 커뮤니케이션의 의지 * 상대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 하는 과정 = 관찰 : 외양 성향 → 가벼운 질문 = 소통 : 선입견 배제, 편견 배제, 확인과 질문, 비언어, 정확한 의사 표현 잘듣고 잘 말함, 맞장구, 제스쳐, 적절한 시선처리, 화법연구, 상대방 이해, 적절한 매체 사용 대화의 구성요소- 메라비언의 법칙- 말의 내용 / 청각적 요소 / 시각적 요소 커뮤니케이션은 일방통행이 아니다.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은 내가 아닌 상대방소통을 위해서 경청과 반응을 중시한다. 내용적 측면에서의 소통법.. 2018. 5. 31.